5 형식

4. 제 4형식 : 주어+수여 동사+간접 목적어 +직접 목적어

zephyr 2009. 8. 27. 10:08

 

제 4형식은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와 직접 목적어(direct object)를

취하는 타동사, 수여 동사(dative verb)로 이루어진 문형이다.

수여 동사는 뒤에 나란히 놓이는 명사어구 중 첫 번째 것을 간접 목적어(IO),

두번째 것을 직접 목적어(DO)로 하여 대체로 [IO에게 DO를 어찌하다]고

서술한다.  

대부분의 4형식은 간접 목적어를 부사구로 바꾸면 3형식이 될 수도 있다.


   A: She gave the whole office(IO) the flu(DO).

       (그녀는 사무실 전체에 독감을 퍼뜨렸다.)

        → She gave the flu(O) to the whole office(A).


   B: He bought her(IO) some chocolate(DO).

       (그는 그녀에게 초콜릿을 사주었다.) 

        → He bought some chocolate(O) for her(A).


   C: May I ask you(IO) a favor(DO)?

       (당신에게 부탁을 좀 해도 될 가요?)

        → May I ask a favor(O) of you(A)?


   D: He’ll forgive you(O) your sin(O).

       (그는 너의 죄를 용서할 것이다.) 

  

   E: She gave him(IO) a warm smile(DO).

       (그녀는 그에게 따듯한 미소를 보냈다.)

 

 

간접 목적어를 부사구(전치사 + 간접 목적어)로 바꿀 때 동사에 따라

어떤 전치사를 사용하는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A)와 같이 간접 목적어에 대해 방향을 표시하는 느낌이 강한 전형적인

수여 동사 대부분에는 [to: ~에게]를 붙이는 경향이 있고, 

B)와 같이 간접 목적어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먼 수여 동사의 경우에는

[for: ~을 위해]를 붙이는데 동사의 의미로 볼 때 대체로 간접 목적어에

대해 어떤 것을 마련해 주는 느낌이 강하다.

[for]를 붙이는 동사의 구분을 위해  B)의 경우 “He bought some

chocolate and gave it to her.”의 식으로 이해를 해도 좋을 것 같다.

 

C)과 같이 간접 목적어를 부사구로 바꿀 때 전치사가 동사와의 관계에서

관용적인 (idiomatic)것도 있다.       

 

D)와 같이 간접, 직접 목적어라고 하기보다는 동일한 자격의 목적어로

있는 경우(He’ll forgive you. + He’ll forgive his sin.)는 첫 번째

목적어를 전치사구로 전환할 수 없다. 이런 경우에는 두 번째 목적어에

‘for’를 부가하여 “He’ll forgive you for your sin.”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문장의 전환을 위해 어떤 공식이나 규칙을 만들거나 알려고 하기 보다는

동사들의 쓰임새와 표현 양식에 대한 감각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말하자면,  E)의 표현 감각을 익혀 “She blew him a kiss from the door.

(그녀는 문에서 - 입술을 손바닥에 대고 불어 - 그에게 키스를 보냈다.)”

라고  말 할 수도 있고,  E)의 표현을 “She smiled warmly at him.”로 형식을

달리 말 할 수도 있는 능력을 키우는 일이다. 

 

 

수여 동사의 간접 목적어를 부사구로 전환하는 것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1) 간접 목적어를 강조하고 싶을 때

  

      The firm gave a beautiful gold watch to Sam.

       (Sam에게 회사는 멋진 금시계를 주었다.) 


  2) 직접 목적어가 대명사일 때


       They gave it to Sam. (그들은 그것을 Sam에게 주었다.)


  3) 간접 목적어의 길이가 길 때


      He reads his poems to anyone who’ll listen.

      (그는 듣겠다는 사람은 누구에게나 그가 쓴 시를 읽어 준다.)


영어의 4형식을 배울 때 유의해야 할 것은 <~에게 ~을 어찌하다>를 표현하는 

3형식 동사와 수여 동사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수여 동사는 간접 목적어를 부사구로 바꾸어 3형식으로 전환 할 수 있지만

3형식 동사는 부사구를 간접 목적어로 바꾸어 4형식으로 전환 할 수 없다. 


  A: He introduced Sam(O) to his friends(A).                     -- 3형식 동사 

      (그는 Sam을 그의 친구들에게 소개했다.)

      He introduced his friends Sam.( Ⅹ )

 

  B: He explained to me (A) what the situation was(O).       -- 3형식 동사

      (그는 나에게 상황이 어떤지를 설명해 주었다.)

      He explained me what the situation was.( X )


다음은 수여 동사로 잘못 알기 쉬운 3형식 동사들이다.

 

  [admit/announce/confess/confide/declare/demonstrate/

    describe/entrust/explain/introduce/mention/propose/

    prove/repeat/report/say/state/suggest]


 [~에게 ~을 어찌하다]의 표현에 있어 전치사와의 관계가 관용적인

 3형식 동사도 있다.

 

    

     The hotel provides children(O) with a playroom(A).

      (그 호텔은 어린이들에게 놀이방을 제공한다.) 

                  [furnish, supply, present, etc. ]

 

    

     She reminds me(O) of her mother(A).                      

      (그녀는 나에게 그녀의 어머니를 생각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