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형식

1. 제1형식 : 주어 + 완전 자동사

zephyr 2009. 8. 26. 16:05

 

 제1형식은 목적어(object)나 보어(complement)없이 동사 자체만으로

주어의 상태나 동작을 서술하는 완전 자동사(complete intransitive verb)로

이루어진 문형이다. 동사의 동작이 어떤 대상과 관계가 있을 때는 전치사가

그 관계를 표시해 준다.


1형식의 내용은 대충 [~ 가/는  어떠하다/어찌하다.]이다.


      We had to cover the last three miles on foot.    -- 완전 타동사

      (우리는 걸어서 마지막 3마일을 가야 했다.)

      We went to Pusan by train.                              -- 완전 자동사

      (우리는 기차로 부산에 갔다.)


타동사 “cover”의 가장 흔한 의미(the most common meaning)는 “덮다”이지만,

“travel a particular distance( ~의 거리를 가다/주파하다)”의 의미도 갖는다.

타동사 “cover”는 전치사의 도움 없이 ”the last three miles”를 직접 동작의

대상(목적어)으로 삼는다.  

반면에 자동사 “went”는 “부산(Pusan"을 직접 어떻게 한 것이 아니고

동사 자체만의 동작으로 “가다” 보니 “부산에(to Pusan)” 이른 것이다.   

우리말에서는 조사(助詞)가 단어와의 관계를 표시해 주기 때문에 

자동사, 타동사의 구분이 별 필요가  없지만 영어에서는 그 구분이 중요하다. 


동사 자체만으로 주어의 상태나 동작을 서술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예문을 보자.


    S:주어(subject)  V: 동사(verb)  A:부사적 수식어(adverbial)

 

    A:  Whether we start now or later(S) matters(V). 

          (지금 떠나느냐 나중에 떠나느냐가  중요하다. )

    B:  I(S) talk(V) to Mom(A) on the phone(A) every Saturday(A).  

          (나는 토요일마다 전화로 엄마에게 얘기를 한다.)

    C:  He(S)) is(V) without a job(A).

          (그는 직업이 없다.)

    D:  The disease(S) originated (V) in Africa(A).

          (그 병은 Africa에서 시작 되었다.) 

    E:  Her new book (S) sold(V) well(A) in the first six months(A).

          (그녀의 새 책은 처음 6개월 동안은 잘 팔렸다.)

    F:  There is(V) a spider(S) in the bath(A).

          (욕탕에 거미가 한 마리 있다.)

 

{재정리}

1형식은 A)와 같이 주어와 동사만으로도 문장의 구성이 가능하나

대개는 B)와 같이 부사적 수식어(adverbials)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1형식은 필수 부사적 수식어 (obligatory adverbial)의 이해가 중요하다.

보통 부사적 수식어는 단순히 동사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불과해

그것이 없더라도 완전한 문장이 될 수 있지만,  그것이 없으면 완전한 문장이

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C)의 경우 부사적 수식어 “without a job”는 보어 역할을 할 수 있는 형용사

(jobless)와 다를 바 없다.

D)의 경우 “in Africa”가 없다면 의미의 전달이 완전하다고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문장의 구성에서 보어나 목적어 못지않게 중요한 부사적 수식어는   

필수 부사적 수식어 (obligatory adverbial)로 보아야 한다.


E)와 같이 완전 자동사에는 수동의 의미를 갖는 경우도 있다.

F)는 유도부사(there)가 이끄는 1형식 문장이다.


어떤 문장이 몇 형식에 해당하는가를 따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어구의 배열/형식을 보고 자동사와 타동사를 구분해 동사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G:  Bob always walks(V) his dog(O) before he goes to bed (A).

         (Bob은 취침하기 전에 항상 그의 개에게 걷기 운동을 시킨다.)

    

         She walks(V) (for) three miles(A) each day (A). 

          (그녀는 매일 3마일씩 걷는다.)  


    H:  Sixty dollars lasted(V) him(O) about a week(A).

         (60달라는 그를 일주일 쯤 버틸 수 있게 해주었다.

          = 그는 60달러로 일주일 쯤 근근이 버틸 수 있었다.) 

    

          He did not last(V) long(A) as captain (A).

          (그는 주장으로서 오래 가지 못했다.)


     I:   He wouldn‘t hurt(V) a fly(O).

          (그는 파리 한 마리를 못 죽이다/해친다.)

     

          It doesn’t hurt(V) that she is beautiful (S).

          (그녀가 예쁜 것이 아무에게도 해로울 것이 없다.)

    

 

언어는 난해한 것인지라 확연히 설명하거나 확연히 이해하기는어렵다. 

말의 의미를 파악하는 일은 언어 감각에 맡길 일이다. 

 

                   “The shoes hurt.” ( 그 구두는 아프다? )


상황에 따라 보이지 않는 언어감각(invisible tongue)이  그 의미를 쉽게 판단할

있을 것이다.


                      “이 구두는 (신어 보면) 발이 아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