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구문

1. 강조(emphasis)구문

zephyr 2009. 10. 16. 17:24

 [재평가}재정리}

                

                  특수 구문(irregular sentences)


동사에 불규칙 동사가 있듯이 문장에도 불규칙 문장이 있다. 어구를 강조,

도치, 생략하는 문장, 또는 특수한 상황의 문장들은 일반적인 문장과 어순

이나 구성형태가 다르다.

특수구문이란 이와 같은 불규칙 문장(irregular sentences)을 말한다. 

 

특수구문은 문장을 일정한 틀 속에 넣어 특정 어구를 강조하는 분열문

(分裂文 = cleft sentence)의 어법이라든지 평서문임에도 불구하고 의문문처럼

조동사나 be/have/do동사가 주어 앞에 놓이는 부정부사의 도치 어법등에서 

두드러진다.   


           

 

                  1.  강조 (emphasis)구문

               

     1) 분열문 ( It be + 강조어구 + that ~ )


          John bought a bike on the internet last night.    --  전제문

          (John은 어젯밤 인터넷으로 자전거를 샀다.)


   가. It was John that/who bought a bike on the internet last night.

   나. It was a bike that/which John bought on the internet last night.   

   다. It was on the internet that John bought a bike last night.

   라. It was last night that John bought a bike on the internet.    


(가~라)의 분열문(cleft sentence)에서 밑줄친 부분이 강조되는(focused/

highlighted) 어구들이다.

전제문에서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어구와 장소, 시간, 이유 등을

나타내는 부사어구가 주로 강조된다.

분열문 (It be ~ that~ )에서 that은 생략되기도 하고, 강조되는 명사가

사람/사물일 때 who/ which로 대체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나)의 경우 

"What John bought on the internet last night was a bike."라 표현해도

같은 의미가 될 수 있지만 이는 특수구문이라 할 수 없다.

분열문을 특수구문이라 하는 것은 그것의 형태(It be ~ that~ )가 전제문의

강조 부분과 나머지 부분의 위치를 표시하는 특이한 형식의 틀(frame)이기

때문이다.

분열문의 [It be ~ that~]은 that절을 대신하는 가주어의 용법과 형태와

해석 (~은 ~이다)에서 아주 흡사하지만 둘은 전혀 별개의 어법이다.

분열문의 경우는 It, be, that을 지우고 어순을 환원하면 다시 완전한 문장이

된다.


  It is no accident that every letter we send is delayed.  <가주어의 용법>

  (우리가 보내는 모든 편지가 지연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무슨 내막이 있다.)


가주어 용법은 분열문과는 달리 it, is와 that을 지우면 주어, 동사와 접속사를

지우는 것이 되어 요령부득의 의미(no accident every letter we send is

delayed.)가 된다.

    

 

  다음의 분열문에서 강조의 틀(frame)을 지우고 어순을 환원해 보자.    


    A: It's the thought that counts.

        (중요한 것은 배려하는 마음이다.)

    B: It's your brother that I want to speak to.

        (내가 말을 하고 싶은 상대는 너의 형이다.)

    C: It was because he loved her that he left her.

        (그가 그녀를 떠난 것은 그녀를 사랑하기 때문이었다.)


 

 

 

         2) 강조의 어구


    A: Your garden does look nice.                                     <동사의 강조>

        (당신의  정원은 정말 보기 좋네요.)

    B: How did you know this was the very thing I wanted?    <명사의 강조>

        (이것이 내가 원하는 바로 그 일이라는 것을 어떻게 아셨어요?)

    C: What on earth/in the world do you mean?                 <의문사의 강조>

        (도대체 무엇을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D: There is nothing whatever to worry about.                   <부정의 강조>

        (걱정할 것이 전혀 없다.)


A~D)와 같은 예처럼 강조어에 의한 강조는 특수구문의 영역이라 하기보다는

어휘의 영역이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