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

관념적 일치

zephyr 2010. 5. 12. 12:09

 

     3. 관념적 일치(notional concord) 

       

때때로 주어의 수와 동사의 일치에서 겪는 어려움은  문법적 수와  관념적

사이에서 일어 난다. 

특히  집합 명사의 주어, 등위 접속사(and, or 등)로 연결된 주어, 수의 표현이 

불명확한 주어에서 명사의 형태가 나타내는  문법적 수를 사용할 것인가  

문맥에서 드러나는  관념적 수를 사용할 것인가에 갈등과 어려움이 있다.

< 참조: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P.757 >

    

 

          1) 집합 명사의 주어

  

   A: The audience was enormous.                                  -- 집합 명사

        (청중이 대단히 많았다. 

   B: The audience were deeply impressed by her speech.  -- 군집 명사

       (청중/청중들은 그녀의 연설에 깊이 감명을 받았다.)

 

집합명사는 집단을 하나의 단체(a single undivided body = 집합명사)로 보느냐

개인들의 집합체(a collection of individuals = 군집명사 )로 보느냐에 따라

단수동사, 복수동사를 사용한다.

 

    C: The public has / have a right to know.

        (대중은  알 권리가 있다.)

    

일반적으로 영국식 영어에서는 수에 의문이 있을 때에는 단수 동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D: The committee has not yet decided how they should react

        to the Governor's letter.

       (위원회는 지사의 서한에 대해 어떻게 답을 할 것인지 아직 미정이다.)

 영국식 영어와 마찬가지로 대명사가 집합 명사를 가리킬 때 미국식 영어에서도

복수 대명사(they)가 흔히 사용된다.

 

 

    E: The couple are happily married.                     --  두 사람

        ( 그 부부는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고 있다.)

    F: Each couple was asked to complete a form.   --하나의 단위/집단

        (각쌍의 부부는 서류를 작성하는 것이 요구 되었다.)

 

 E)와 F)에서 보듯이 관념적 수는  문맥에서 파악한다. 

   

           

            2) and로 연결된 주어

    

       A: His aged servant and the close freind was/were with him at his  

           deathbed.

          (그의 늙는 하인이자 절친한 친구가/ 그의 늙은 하인과 절친한 친구

           두사람이 그의 임종을 지켜 봤다.) 

 

    A )와 같은 경우 하인과 친구가  동일한 사람이면 단수동사, 다른 두 사람이면

   복수동사를 사용한다. 

 

 

        B: Your fairness and impartiality has/have been much appreciated.

             (당신의 공정함과 공평무사함에 심심한 사의를 표합니다.)

 

        C: Her calmness and confidence is/ are astonishing.

            (그녀의 침착함과 자신감은 놀라웠다)

 

         D: Law and order has/ have been established.

               (법과 질서가 확립되었다.)     

 

B~D)에서 보듯이  추상명사들의 수 개념에는 재량권이 허용된다.  

("Some latitude is allowed in the interpretation of abstract nouns.")

 

[and]로 연결된 명사들의 관념적 수의 적용은 그것들은 분리된 것으로 보느냐

복합된 일체(a complex unity)로 보느냐에 따라 복수나 단수로 사용할 수 있다.

 

 

 

 

      4. 근접/끌림(proximity/attraction)의 현상

 

  주어와 동사의 일치에서 발생하는 혼동은  동사에 근접(proximity)한 명사의

수에 이끌리는 현상(attraction)에서도 흔히 일어 난다.

 

   A good knowledge of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are required

   for  this position.

   (이 직책에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의 충분한 지식이 요구된다.)

 

실제의 주어는 단수(A good knowledge)이나 English, Chinese,and Japanese를

주어로 혼동하여 복수동사(are)를 사용한 것이 근접에 의한 끌림 현상이다.

문법적 일치와 근접/끌림의 일치 사이에서의 문제는 주부의 중심어(head word)와

동사의 거리가 먼데서 기인한다. 

예를 들면, 중심어를 수식하는 말이 길거나 중간에 부사나 삽입구가 끼어 있을 때 근접/끌림의 현상이 일어난다.

근접/끌림의 일치는 무심코 하는 대화에서 주로 일어나는 것으로 글을 쓸 때에는 눈에 띄이면 문법적 일치로 고치게 된다.

 

 

결론:

문법적 일치는 격식체의 용법( formal usage)이라 할 수 있고

관념적 일치는 일상 영어(colloquial English)의 용법이라 할 수 있다.

문법적, 관념적 일치 두 개의 원칙이 갈등을 격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이 두개의 원칙은 상보적 조화를 이룬다.

근접의 일치는 일상 영어에서 아주 흔히 일어 날 수 있으나 타당성이 없다.

'일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사의 일치  (0) 2010.05.03
주어와 동사의 일치  (0) 2010.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