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

주어와 동사의 일치

zephyr 2010. 5. 3. 17:35

 

 

                  일치 (agreement / concord)

 

    일치(一致)는 두 개의 문법 단위(grammatical units)에서 한 단위가 다른 단위의 문법적 특성(인칭, 수, 시제)에 호응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예컨대, 3인칭 단수의 주어에 동사를 현재 시제로 할 때 동사원형에 (e)s를 붙여

사용하는 것이 일치의 어법이다.

 

        My son loves playing the piano.               [단수주어 + 단수동사]

        (나의 아들은 피아노 치기를 좋아한다.)

        My sons love playing the piano.               [복수주어 + 복수동사]

        (나의 아들들은 피아노 치기를 좋아한다.)

 

 

          1. 주어와 동사의 일치 (subject - verb concord )

 

   주어와 동사의 일치는 주어의 인칭과 수(단/복수)에 대해 동사형태의 호응을

말한다.

 

1: (A) The rosebush Sally gave to my daughters is growing beautifully.

         (Sally가 내 딸들에게 준 장미나무는 예쁘게 잘 자라고 있다.)

    (B) Her ideas on the subject were not ones I shared. 

         (그 문제에 대한 그녀의 생각들은 내가 공감할 수 있던 것들이 아니었다.)

 

2: (A) How they ever met is an absolutely mystery.

         (그들이 어떻게 만난 것인지는 정말 알 수 없는 일이다.)

    (B) Standing in the rain for two hours was not my idea of fun.

         (비를 맞으며 두 시간이나 서 있는 것은 내 취향이 아니었다/질색이었다.)

 

3. (A) What you need is the courage to leave her.

         (네가 필요한 것은 그녀와 헤어지겠다는 용기이다.)

    (B) What were supposed to be his ideas were in fact his wife's.

         (그의 생각이라고 여겨젔던 아이디어들이 사실은 그의 부인의 것이었다.

    (C) What ideas he has are his wife's.

         ( 그가 갖고 있는/내 놓는 생각들은 다 자기 부인의 것이다.)

 

 

주어와 동사의 일치는 수(number)와 관련하여 주어 어구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주어가 명사구일 때 중심어(head word)가 단수이면 단수동사, 복수이면 복수동사를 사용한다.

 

(1:A)는 중심어가 단수(rosebush),  (1:B)는 복수(ideas)이다.

 

주어가 명사절(2:A), 동명사구(2:B), 부정사구일 때는 전체의 내용을 하나의

사실로 간주한다.

그러나 (3:B)와 (3:C)에서 보듯이 what절(what-clause)의 경우는 복수의 개념도

갖게 된다.

 

다시 말하면, 주어와 동사의 일치는 주부에서 중심어가 어느 것이고

그 것의 수(number)가 어떤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예문을 통해 연습해 보자.

 

A: Sally and Harry are now ready.

    (Sally와 Harry는 이제 준비가 됐다.)

B: Curry and rice is his usual lunch.

    (카레라이스는 그가 늘 먹는 점심이다.)

 

A)와 같이 주어로 사용된 명사들이 and로 연결되면 복수이나

B)와 같이 and로 연결됐더라도 짝을 이루어 하나의 단위가 되면 단수이다.

 

C: Either you or he is responsible for it.

    (너 아니면 그가 그 일에 책임이 있다.)

D: Neither he nor his sons are responsible for it.

    (그도 그의 아들들도 그 일에 책임이 없다.)

 

단수의 주어들이 [either ~ or~], [neither ~nor~],  [~ or ~] 로  연결되는 경우 단수취급을 하고 단수와 복수가 섞여서 연결될 경우에는 동사에 가까이 있는 주어의 수에 일치시키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neither ~ nor의 경우 관념상 부정의 결합[union of negatives: both (not A) and (not B)]으로 여겨 비격식체에서(in a less formal usage)는  복수 취급을

하기도 한다.

즉 다음 예문에서 2)가 원칙이지만 대화체에는 1)이 더 자연스럽다.

    

        1: Neither she nor her husband have arrived.

        2: Neither she nor her husband has arrived.

 

E: The father as well as his sons has arrived.

    (그의 아들들 뿐만 아니라 아버지도 도착했다.)

    The father with his sons has arrived.

    (아들들과 함께 아버지가 도착했다.)

    Not only the father but his sons have arrived.

    (아버지 뿐만 아니라 아들들도 도착했다.)

 

[A as well as B, A with B, Not only B but (also) A]의 경우  A가 중심어가 된다. 

    

F: The audience was enormous.

    (청중의 수 엄청나게 많았다.)

   The audience were enjoying every minute of it.

   ( 청중들 모두 매 순간을 즐기고 있었다.)

 

class/ committee/ crowd/ family/ group/ jury등과 같은 것들은 그것을

하나의 집합체로 볼 때는 단수로, 구성원으로 볼 때는 복수로 취급한다.

 

G: Many a student makes the same mistake.

    (많은 학생들이 똑같은 실수를 한다.)

H: More than one student has made the same mistake.

    (적지 않은 학생들이 똑같은 실수를 했다.)

 

[many a +단수명사]와 [more than one]은 단수 취급한다.

 

 

I: Every bedroom has its own private bathroom.

   (모든 침실은 각자 개인용 욕실이 있다.)

 

[each/every + 단수명사], everything, anyone, anything, nobody, nothing등과

같은 것들은 단수취급한다.

 

J: People like that really annoy me.

   (그런 사람들이 나를 정말 짜증나게 한다.)

 

(e)s가 붙어 있지 않지만 police, cattle, livestock, clergy, sheep, deer, cod등은

복수명사이다.

 

K: Measles is generally a children's illness.

    (홍역은 대체로 어린아이들의 병이다.)

 

(e)s가 붙어 있지만 billiards, mathematics, physics, politics, the Netherlands,

the Philippines, the United States, the Canterbury Tales등은 단수명사이다.

 

 

L: Ten dollars is all I have left. (That amount is ......... )

    (10달러가 나에게 남아 있는 전부다.)

    Ninety people means a huge party. (That number of people means ..... )

    (90명은 대단한 집단이다.)

    Two miles is as far as she can walk. (That distance is ..... )

    (2마일 정도가 그녀가 걸을 수 있는 거리다.)

    Three years is a long time to wait.   (That period is  ...... )

    (3년이라는 기간은 기다리기에는 긴 세월이다.)

    cf.Three years have passed since he left her.

        (그가 그녀를 떠난지가 3년이 지났다.)

 

복수의 수치일지라도 그 것을 하나의 단위로 취급하여 그 성격(양, 수, 거리,

기간 등)을 서술할 때는 단수로 취급한다.

 

 

M: The number of students present was very large.

     ( 참석한 학생들의 수가 아주 많았다.)

 N: A number of students ( = more than a few, but not many students ) 

     have  part-time job.

     (적지 않은 수의 학생들이 부업을 갖고 있다.)

 

M)은 중심어가 [ The number],  N)은 중심어가 [students]이다.

 

 

O: All possible means were tried, but no better means was found than that.

    (모든 수단을 시도해 봤지만 그 보다  나은 수단을 찾을 수 없었다.)

 

means, series, species등과 같이 단수와 복수가 동형인 것은 문맥에 따라

그 수를 정한다.

 

 P: 1) Two- thirds of the town was destroyed,

         and one- fifth of the people were killed.

          (마을의 3분의 2가 파괴되었고, 마을 사람들 5분의 1이 죽었다.)

     2) Some/All/Most/ Half/None of employees complain of stress.

        (종업원들의 일부/전부/대부분/아무도<~않다>가/이 스트레스를 호소했다.)

 

  [부분, 수량을 나타내는 말 + of + 명사]일 때 동사는 명사의 수에 맞춘다.

 

Q: Two and five is/ are seven. (2 + 5  = 7 )

     Two times five is/are ten.   (2 x 5  = 10 )

     Seven minus two is five      (7 - 2  =  5 )

     Two into ten is five.            (10 ÷2 = 5 )

 

   수식에서 등호( = )는 단수(is)가 무난하다 하겠다.

 

 

 

   

'일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념적 일치  (0) 2010.05.12
대명사의 일치  (0) 2010.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