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리}
2. Have 동사
Have 동사도 기본 동사((primary verbs)의 하나로 Be동사와 마찬가지로
조동사(auxiliary)와 일반 동사/본동사(full verb/main verb)로 사용된다.
1) 조동사 (auxiliary verb) < 완료 시제 참조 >
Have 동사는 과거 분사와 함께 완료형의 시제를 만든다.
예를 들면, 현재 완료형(have/has + 과거 분사)의 경우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상황/상태(situations "up to now")을 서술한다.
A: I have not seen him this morning. < It is still morning. >
(오전 내내 - 지금까지- 그를 보지 못 했다.)
B: I didn't see him this mornig. <The morning has now passed. >
(오늘 아침에 나는 그를 보지 못했다.)
현재완료 시제 A)에서는 지금까지 오전 내내의 기간을 가리키고
과거시제 B)에서는 이미 과거가 된 오늘 아침을 가리킨다.
[have not]은 문어체이고 [haven't]와 [ 've not ]은 구어체이나
[haven't]가 더 일반적이다.
C: How long have you been here for? < since when >
(-지금까지- 얼마나 오래 여기에 계셨습니까?)
D: How long are you here for? < until when >
(- 앞으로- 얼마나 오래 여기 계십니까/계실 겁니까?)
현재완료 시제 C)는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상황을 서술하는 것이고
현재시제 D)는 현재 혹은 미래의 상황을 서술한다.
E: We haven't found out where he is.
(우리는 -지금까지- 그의 소재를 찾아 내지 못했다.)
<We still don't know where he is.>
F: I have forgotten your name.
(나는 네 이름을 잊어 버렸다.)
< I don't remember your name.>
G: I can't walk - I've hurt my leg.
(걸을 수가 없다- 다리를 다쳤어)
< I have a bad leg.>
영어의 완료형은 우리말에는 없는 어법이다.
현재 완료의 경우 과거시제와 혼동이 되고 현재시제와도 구분이 잘 안된다.
E~F)의 현재 완료형의 문장들과 < >속의 현재 시제의 문장들을 그 의미가
대동소이하다.
2) 일반 동사 (full verb)
have는 "소유하다(possess)"의 뜻을 갖는 일반 동사로도 사용된다.
[have got]은 완료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완료시제의 뜻이 없이
[have]와 대체로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A: We haven't/ don't have/ haven't got any money.
(우리는 돈이 없다/갖고 있지 않다.)
B: Do you have/ Have you (got) any sisters?
(여동생들이 있으세요?)
C: I felt cold. I didn't have/ hadn't got a coat.
(나는 추위를 느꼈다. 코트가 없었던 것이다.)
[~ 갖고 있다]는 소유의 뜻으로 사용될 때는 진행형을 사용하지 못한다.
부정문에서 haven't, don't have, haven't got 등의 형태,
의문문에서 Do you have, Have you, Have you got 등의 형태를 취한다.
D: I don't have a cold./ I haven't got a cold.
(나는 지금 감기에 안 걸렸다.)
E: Do you often have colds?
(자주 감기에 걸리세요?)
보통 D)에서와 같이 [ have]와 [have got]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나
E)의 경우처럼 습관적이고 반복적인 행위(habitual and repeated actions)에서는
[have got]을 사용하지 않는다.
H: What time do you have lunch?
(몇 시에 점심을 드세요?)
I: " Where is Helen?" "She's having a bath."
(Helen은 어디 있어? 목욕중이야.)
일반 동사 have가 "소유(possession의 뜻으로 사용될 때는 상태적(stative)
의미가 되어 진행형으로 사용될 수 없지만 행동을 요하는 명사를 목적어로
삼아 [~을 취하다(take), ~을 먹다(eat), ~을 하다(experience)]등의
동작적(dynamic/active) 의미을 갖을 경우에는 진행형이 될 수 있다.
J: Did she have the wall painted?
(그녀는 그 벽을 칠했냐?)
K: Yesterday we had water coming through the ceiling.
(어제 우리는 천정에서 물이 샜다.)
J)와 K)에서 보듯이 have동사의 대표적인 문형의 하나는 어떤 일을
조치하거나(arrange) 격는(experience) 일을 서술하는 사역 동사의 문형이다.
참조 : 카테고리 {5형식}의 6항 [have 동사의 5형식]
3) have to /have got to
have 동사는 [ have to + 동사 원형]또는 [have got to + 동사 원형]의
형태로 [~해야 한다/임이 틀림없다] 등의 의미를 갖는 조동사가 된다.
A: If you have to do something, you must do it
because it is necessary.
(무언가를 have to 해야 한다면, 그 일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것을 해야한다는 뜻이다.)
B: I've got to stop smoking. <doctor's order>
cf. I must stop smoking. <I want to stop smoking>
(나는 담배를 끊어야 한다.)
C: Do you have to wear a tie at work? <Is there a rule?>
(너는 직장에서 타이를 매야 하냐?)
cf. Must you wear a those dirty jeans? <Is that what you want?>
(너는 그 더러운 청바지를 꼭 입어야 겠냐?)
[have to]와 [must]는 둘 다 [~해야 한다]는 뜻이나 [have to]는
흔히 외부에서오는 필요성, 의무(obligations that comes from somewhere
else)를 표현하고 [must]는 화자/청자의 느낌이나 소망(feelings and wishes
of the speaker/ hearer)에서의 필요성, 의무을 표현하는 경향 또는 미세한 차이(nuance)가 있다. [ How English works: Michael Swan. Oxford ]
D: There has (got) to be a first time for everything.
(모든 일에는 처음이 있기 마련이다.-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다.)
E: You have got to be joking.
(너 농담하는 거지.)
D), E)는 [~ 임에 틀림 없다/ 분명히 ~일 것이다]의 뜻이다.
F: You don't have to come if you don't want to.
( 네가 원치 않으면 올 필요 없다.)
F)의 [don't have to]는 [~할 필요 없다]의 뜻이다.
G: When you leave school you'll have to find a job. < will must >
(너는 졸업을 하면 직업을 구해야 할 것이다.)
H: I don't like having to cook every evening. < musting >
(저녁마다 밥상을 차리기가 싫다.)
G), H)에서 보듯이 [have to]는 조동사 [must]와 달리 일반 동사와 마찬가지로
동사 활용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