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

명사의 전성

zephyr 2010. 8. 4. 18:06

{재평가}

단어로 된 명사(one - word noun)를 가산(count noun)과 불가산(mass noun),

즉 셀 수 있는 것(countable)과 셀 수 없는 것(uncountable)으로 나누는 것이

영어의 어법이다.

영어의 명사는 가산과 불가산이 서로 왔다 갔다할 수 있는데 구태여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를  미리 구분해 놓을 필요가 있을가 할 수도 있지만 명사 본연의

의미로 서술할 때 관사의 사용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게 된다.

명사 본연의 의미란 명사를 불특정하고 일반적인 것으로 표현할 때의 의미로

대체로 [~라는 것]을 뜻한다.

 

      . Is it a boy or a girl?  (태어난 아기가 아들이야, 딸이야?)   

      . Is it milk or water?   (그것이 우유야, 물이야? )

 

위의 문장들은 서술하는 상황은 동일하지만

가)의 명사에는 부정관사가 붙고  나)의 명사에는 무관사이다.

그것이  명사를 불특정한 개체/일부를 표현할 때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의 차이이다.

관사의 사용은 이처럼 명사 본연/본래의 의미가 갖고 있는 가산성을 구분하는 

것이 기본이다.

종래의 영문법에서 보통명사가 추상명사로, 고유명사가 보통명사로, 추상명사가 보통명사로, 물질명사가 보통명사로 전성(轉成 = conversion)한다고 설명하는데 그것은 커다란 잘못이다.

셀수 없는 명사가 셀수 있는 명사로, 셀 수 있는 명사가 셀수 없는 명사로 전성한다.

다섯 가지 명사를 기준으로 삼아 그 사이에서 서로 전성을 한다는 것은

불합리하고 비논리적이며 비능률적이다.

그것은 어법의 통합성도 간결성도 없다

{재정리}

영어 명사의 전성은 가산성의 전성이다.

"추상명사가 보통명사로 전성되었기 때문에 부정관사를 붙인 것이다."라는

식의 설명은 큰 잘못이다. 전성된 것을 무엇이 알려 준다는 것인가?

말을 하는 사람이 직접 적절한 관사를 붙여서 그 의미를 전성시키는 것이다.

어떤 명사에 부정관사를 붙이는 이유는 그것을 어떤 "불특정한 하나의 개체"로 지정/표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명사의 전성은 관사들을  불특정한 개체/일부를 지정할 때의 어법과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명사 본연의 가산성에 변화를 주는 것을 말한다. 

 

      가) The concert was a great success.     -- 가산 명사로 전성                 

             (그 음악회는 대성공이었다.) 

      나) Dont be late for school!                   -- 불가산 명사로 전성

             (수업에 늦지 마라.)                                          

      다) 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 불가산 명사로 전성

            (펜(글의 힘)은 칼(칼의 힘)보다 강하다.)  

 

가)의 “success”는 본연의 의미가 불가산명사 “성공”이지만 부정관사를

붙임으로써 가산명사 “한 차례의 성공”이 된다. 나)의 school은 본연의

의미가 가산명사 학교이지만 무관사를 사용함으로써 불가산 명사 수업이 된다.

다)의”The pen/ the sword”는 문맥상/논리상 “그 펜/ 그 칼”의 의미가 될 수 없다.

본연의 의미가 셀 수 있는 명사인 “펜/칼”에 부정관사와 대립하는 정관사를

붙임으로써 셀 수 없는 명사 “문/무(文/武)”의 의미가 된다. 

영어 명사의 전성(conversion)은 가산(可算) 명사와 불가산(不可算) 명사 사이를

서로 왔다 갔다 하는 (interchangeable) 전성이다.

 

이제 불가산 명사에 부정관사를 붙였을 때 불가산 명사 본연의 의미가

어떻게 "불특정한 개체"의 의미로 변신하는가를 살펴 보자..

 

 A) Dr. Johnson called you while you are out.

     (당신이 외출한 사이에 Dr. Johnson이 찾아 왔었어요.)

     A Dr. Johnson called you while you are out.

     (당신이 외출한 사이에 Dr. Johnson이라는 분이 찾아 왔었어요.) 

 B) The World Cup was played in Korea and Japan in 2002.

      (2002년에 월드컵이 한국과 일본에서 개최되었다.) 

      We are hoping for a better Korea.

      (우리는 보다 나은 한국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A~ B)의 밑줄 친 명사들은 모두 고유명사로 본연의 의미일 때는 무관사를

사용하는 불가산명사이지만 그것에 부정관사를 붙이면 본래의 것과는 구분이

되어(differentiated) 

"A Dr. Johnson"은 “Dr. Johnson이라는 (어떤) 사람," 

"a better Korea"는 “보다 나은 (어떤) 한국”,

불가산명사가 이와 같은 구체적인 개체의 의미들로 변할 수 있는 것은

부정관사가 하는 일이 “불특정한 어떤 하나”를 지정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고유명사”가 “보통명사”로 전성되었기 때문에 부정관사를 붙인 것이 아니고

불가산명사에 부정관사를 붙여 그것을 가산명사로 전성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D) The statue is made of stone.

        (그 동상은 돌(석재)로 만들어졌다.) 

       He threw a stone at the dog.

        (그는 그 개에게 돌멩이 하나를 던졌다.)  

E) The car overturned and caught fire.

        (그 차는 뒤집히고 이 붙었다.)

        A fire broke out last night.

        (어젯밤에 한 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F) Silence is golden.

        (침묵은 금이다.)

       There was a long silence in the room.

        (방 안에는 한 동안의 침묵이 있었다.)

G) Time is money.

        (시간은 돈이다.)

        There is a time for every thing. 

        (모든 일에는 어떤 시기가 있는 법이다.) 

 

D)와 E)의 stone과 fire는 물질적인, F)과 G)의 silence와 time은 추상적인

불가산 명사이다.  

불가산 명사에 무관사를 붙일 때는 명사 본연의 의미인 “돌”, “불”, “침묵”,

“시간”을 가리키는 것이지만, 부정관사를 붙여 “어떤 하나의 개체”로 지정을

하면 본래의 것과는 구분이 되는 새로운 대상이 된다.   

즉 “하나의 돌멩이”, “한 건의 화재”, “한 동안의 침묵”, “어떤 한 시기”를

뜻하는 가산명사로 전성된다.

 

H) He forgot the judge in the father.

        (그는 아버지로서의 정 때문에 판사로서의 직분을 잊었다.)

 I) He felt the patriot rise within himself.

        (그는 마음속에서 애국심이 솟아 오르는 것을 느꼈다.)

 

H)의 the judge, the father는 문맥상 "그 판사", "그 아버지"의 뜻이 될 수 없다.

가산 명사 (judge, father)에 부정관사와 대조적인 정관사를 붙여 불가산 명사로

전성시킴으로써 "아버지의 정," "판사의 직분"을 뜻하게 된다.

H)의 the patriot도 본연의 의미 "애국자"와 관련된 심성을 나타내기 위해

정관사를 사용해 불가산명사로 전성한 것이다.

명사의 전성은 관사에 의한 의미의 변화, 상황의 변화, 가산성의 변화이다.

대체로 가산으로 전성되면 보통명사의 성격, 불가산으로 전성되면 추상명사의

성격을 갖는다.   

 

 

' 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사의 전성  (0) 201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