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사의 실제

관계사의 실제

zephyr 2015. 7. 26. 23:36

 

문장에서 문법을 보는 시각(視角)은 의미집단의 경계(the demarcation of

sense groups)을 구분하고 그것의 역할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관계사절, 명사절, 부사절 등의 종속절은 규모가 큰 대표적 의미집단들이다.

복합관계사와 that은 부사절을 이끌기도 하지만 보통 Wh-words/ that

종속절을 이끌 때는 관계사절(형용사절)과 의문사절/that(명사절)로 구분

하게 된다.

선행사를 모체로 그것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관계사의 형용사절과 선행사

없이 독자적으로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의 의문사절/that절의 구분은

복문(주절 + 종속절)을 이해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어법은 어떤 것이라고 설명하기 보다는 용례를 보여주는 것이 쉽다."

    (How a language works is easier to exemplify than to define.)

   

예문을 통해 관계사절/형용사절의 언어감각을 익혀 보자. 

 

   A. He looked at Harry, who did not look away.

       (그는 Harry를 똑바로 바라보았고, Harry도 시선을 피하지 않았다.)

   B. We need to discuss the problem, which is why I'm here.

       (우리는 그 문제에 대해 의논할 필요가 있어, 그래서 내가 여기 온 거야.)

   C. Well meet again in two weeks, when I'll hear your suggestion.

       (2주후에 다시 만나자, 그 때 너의 제안을 들어 볼게.) 

D. He was educated at Harvard of which his father was president.

       (그는 아버지가 총장이었던 Harvard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

   E. We went a restaurant which Jane had recommended to us.

       (우리는 Jane이 추천해준 어느 식당에 갔다.)

   F. We went a restaurant where Jane had a part-time job.

       (우리는 Jane이 부업으로 일하는 식당에 갔다.)

 

관계사가 어떤 어구를 선행사로 삼아 관계사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유의하자.

A)에서 보듯이 관계사절의 본질은 선행사의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문장의

구조이다.

B)의 관계사는 앞에 나온 문장 전체를 받아 관계사절에서 주어 역할을 한다.

앞에 나온 문장 전체를 선행사로 삼는 것은 관계대명사 which뿐만이 아니라

C)에서 보듯이 관계부사 when의 경우에도 해당된다.  

D)의 관계사 of which는 [He was educated at Harvard. + His father was president of Harvard.]에서 나온 형태이다.

E)의 관계대명사와 F)의 관계부사에서 보듯이 관계사의 사용에서 중요한 것은 관계사절 속에서의 역할이다.

  

   G. There are few passengers who escaped without serious injury.

        (중상을 입지 않고 빠져 나온 승객은 거의 없었다.)

   H. There are few passengers, who escaped without serious injury.

        (승객은 아주 적었다, 그들은 모두 중상을 입지 않고 빠져 나왔다.)

 

G)와 H)는 관계사의 제한적, 비제한적 용법에 따라 의미에 차이가 나는 예이다.

 

    I. You are free to marry the man who/whom you love.

       (너는 네가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할 자유가 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은 흔히 who로 사용하기도 한다. 

 

   J. I want you to meet my friend, Lee, who I think I mentioned

       in my last letter.

       (제 친구 Lee를 소개하겠습니다, 요전 편지에서도 말씀 드린 것 같은데요.)

 

관계사절을 목적어로 삼는 [주어 + 동사]는 관계사 뒤로 자리를 옮겨

삽입절이 된다.

 

    K. What do you think of the wine (which/that) we drank last night?

         (어젯밤 우리가 마신 포도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L. Who was that beautiful girl (whom/who/that) I saw you with last night?

         (어젯밤 너하고 같이 있는 거 봤는데 그 예쁜 여자는 누구냐?)

 

K~L)에서 보듯이 한정적 용법에서 동사나 전치사의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하는 것이 구어체(informal style)에서는 더 자연스럽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주격, 보격 관계대명사, 관계부사도 생략할 수 있다.

 

          1. There is a woman at the door (who) wants to see you.

               (문 밖에 너를 보자는 여자가 있다.)

          2. This is the only dictionary (that) there is in the office.

               (이것이 이 사무실에 있는 유일한 사전이다.)

          3. He is not the man (which/that) he used be.

              (그는 과거의 그 사람이 아니다.)

          4. He died on the day (when/that) his son arrived.

              (그는 아들이 도착한 날 죽었다.)

 

     M. Who that knows him would trust him?

          (그를 아는 어느 누가 그를 믿겠는가?)

     N. He talked of the men and the books that interested him.

          (그는 그가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과 책에 대해 이야기 했다.)

 

M)과 N)의 경우처럼 선행사가 "who"일 때라든지 선행사가 사람 이외에 동물

또는 사물을 포함할 때 관계사는 that을 사용한다.

 

O. The only thing that matters to me is your happiness.

           (나에게 중요한 유일한 것은 너의 행복이다.)

 

O)에서 처럼 사물을 가리키는 선행사가 the only/very/same, all, every,

any, no, little, much 등이나 최상급의 형용사로 수식을 받을 때는

which를 사용하지 않고 that을 사용하는 것이 정상(normal)이다.  

 

       P. You're the only person who can help me.

           (네가 나를 도울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다.)

 

P)와 같이 선행사가 사람인 경우는 O)의 경우와는 달리 who를 사용할 수 있다.

 

       Q. The house the roof of which/of which the roof/whose roof was

            damaged has now been repaired.   

            (지붕이 망가졌던 집은 지금은 수리되었다.)

 

Q) 같은 표현은 다분히 문어체(formal style)이고,

       "The house that had its roof damaged has now been repaired."

       "The house with the damaged roof has now been repaired."가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이라 하겠다.

   

  

        R. He needs a house in which to live /to live in.

            (그는 살 집이 필요하다.)

 

R)과 같이 [전치사 + 관계사]의 형태가 [to 부정사]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S. This is the office / at which he works.

                                    / which he works at.

                                    / that he works at.

                                    / (   ) he works at. 

               (이곳이 그가 일하는 사무실이다.)

 

관계사가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때 전치사는 관계사의 앞이나 동사의 뒤에

놓이는 것이 다 가능하나, 전치사와 목적어의 관계가 밀접한 경우는 전치사를 관계사 앞에 놓고, 군동사가 수반하는 전치사의 경우는 동사 뒤에서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 

 

       1. He worked for the whole two years during which he lived there.

           (그는 만 2년 일을 했는데 그 기간을 그곳에서 살았다.)

       2. He is one of the few (whom/who/that) I look up to  < 군동사 >

           (그는 내가 존경하는 몇 사람 중 하나다.)

 

     T. He suggested a plan whereby everyone can prosper. <= by which>

         (그는 모든 사람이 다 잘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

 

T)에서와 같이 주로 문학이나 법률상의 표현에서는 [전치사 + which]를

wherein, whereof등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U. The day [she arrived at the congress] was sunny.

          (그녀가 국회에 도착한 날은 화창한 날이었다.)

 

관계사절의 경계(demarcation)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U)에서는 관계사 when/that이 생략된 "she arrived at the congress"의

앞과 뒤가 관계사절의 경계이다.

즉 화창한 것은 날씨(day)이지 국회(congress)가 아니다.

 

 

다음은 소설에서의 예문이다. 밑줄 친 부분에 유의하며 읽어 보자.

 

    V. A woman who carried with her a secret so powerful that, if revealed,

         it threatened to devastate the very foundation of christianity.

         (아주 엄청나서, 그 사실이 드러나면, 기독교의 근간을 폐허로 만들

          정도로 위협적인 비밀을 지닌 여자.)

 

    W. You said you have a picture of this woman who you claim is the Holy

         Grail? 

         (당신은 그 여자가 성배라고 주장하시는데, 그 여자의 그림도 갖고

          계시다는 말씀이세요?

 

    X. Landon knew Saunier spoke impeccable English, and yet the reason

        he had chosen English as the language in which to write his final words

        escaped Langdon. (THE DA VINCH CODE)

        (Landon은 Saunier가 - 프랑스사람이지만 - 완벽한 영어를 구사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가 최후의 말을 써 놓는 글로서 영어를 택한

         이유를 Langdon은 알 수 없었다.)

 

     Y. Snape stood there, seething, staring from Fudge, who looked

         thoroughly shocked at his behaviour, to Dumbledore, whose eyes

         were twinkling behind his glasses. (HARRY POTTER)

         (Snape는 씨근덕거리며, 그의 행동에 어안이 벙벙한 Fudge,

          그 다음엔 안경 넘어 눈빛을 반짝이고 있는 Dumbledore를 노려보며

          서 있었다.)

 

      Z. As he approached the village he met a number of people, but

          none  whom he knew, which somewhat surprised him, for he had

          thought  himself acquainted with everyone in the country round.

         Their dress, too, was of a different fashion from that  to  which     

          he was accustomed. (RIP VAN WINKLE)  

          (마을에 가까워지며 그는 여러 사람을 지나 쳤다, 그러나 그가 아는

          사람은 없었다. 그는 그 점이 좀 놀라웠다, 그 근방의 사람들은 모두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사람들이 입은 옷도 그가 익숙했던 것과는 다른 모양이었다.)

 

 

 

 

끝으로 언어감각의 면에서 관계사에 대한 이해를 다시 점검해 보자. 

 

 

     1. Here is Captain Morse than whom there is no braver soldier.

        (그 보다 더 용감한 병사가 있을 수 없는 Morse 대위를 소개합니다.)

        = Here is Captain Morse + There is no braver soldier than him.

 

선행사 “Morse 대위”와 관련해 일반적 대명사 “him”대신 관계사“whom”을

사용하고 그 위치를 되도록 선행사에 가까이 옮겨 놓은 것뿐이다.   

than whom”의 형태는 단어간 긴밀도에 따른 것이다.

 

      2. The book was written in 1946, since when society has changed

          enormously.

          (그 책은 1946년에 쓰여졌고, 그 때 이래 사회는 엄청나게 변했다.)

 

예문에서 “when”은 “1946년”을 받아 since의 목적어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예문의 “when”은 관계 대명사로 사용된 예외적인 경우라 할 수 있다.

 

 

압축 관계사절(telescoped relative clause)의 예를 보자. 

                                 <Quirk, Greenbaum, et al. 1985.  P.1257>

 

    3. All this I gave up for the mother who needed me.

         (나를 필요로 하는 어머니를 위해 나는 이 모든 것을 포기했다.)

       = All this I gave up for a person who needed me – that is, my mother.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위해 이 모든 것을 포기했다. – 즉 어머니를 위해)

 

예문에서 관계사절(who needed me)의 선행사 the mother

일반적인 사람(a person)과 동격적인 관계를 갖는 다고 볼 수 있다.